기본적으로 그리드와 벽체를 설계를 한 모습입니다.
1. 문
건축 탭에서 문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DR을 통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좌측 특성 탭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문을 설치해 준 모습입니다.
문을 배치하는 것은 참조 평면을 이용하여서도 가능합니다.
건축 탭의 참조평면(단축키 RP)을 통해 간격을 설정 후 수정 탭의 정렬(단축키 AL)을 통해 배치할 수 있습니다.
문을 방향전환 할 경우엔 문을 클릭 후에 화살표로도 가능하지만 문 클릭 후 스페이스바로도 전환이 가능합니다.
유형 편집에서 문의 높이, 폭, 두께 등 다양하게 편집이 가능합니다.
문을 ctrl+c -> 붙여 넣기 -> 선택한 레벨에 정렬로 각 층에 복사한 모습입니다.
2. 창
건축 탭의 창(단축키 WN)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창 또한 문과 마찬가지로 좌측 특성 탭에서 다양한 종류의 창문을 선택 가능합니다.
창문 또한 클릭 후 스페이스바 또는 화살표를 누르면 방향전환이 가능합니다. (하얀색이 밖을 향하도록 설치)
창을 설치 완료한 모습입니다.
창문을 각 층에 붙여 넣은 3D 모습입니다.
또한 입면도에서 창을 확인했을 때 특성 창에 씰 높이라는 특성이 있는데 이 것은 창대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4. 커튼월
3D 뷰에서 벽을 선택 후 특성 창 맨 밑 부분에 있는 커튼월에서 종류를 선택하여 설계합니다.
커튼월, 외부유리, 점포 앞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커튼월 - 그리드가 없고 유리 패널만 만들어지며 유리면만 있습니다. 이런 경우엔 직접 그리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외부 유리 - 그리드가 있지만 점포 앞 그리드보다 넓게 형성됩니다. (중규모 건축물에 적합합니다.)
점포 앞 - 그리드가 외부 유리보다 촘촘하게 형성됩니다. (소규모 건축물에 적합합니다.)
다음 사진은 좌측부터 커튼월, 외부유리, 점포 앞의 모습입니다.
또한 그리드는 직접적으로 편집이 가능합니다. 수정하고 싶은 커튼월을 클릭 후 유형 편집에서 수직 그리드와 수평 그리드를 각각 편집하여 주면 됩니다.
또한 특성 탭에서 수직, 수평 그리드 맞춤을 중심으로 하면 그리드를 상하좌우 대칭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멀리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멀리언은 그리드를 기준으로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멀리언 또한 특성 탭에서 유형별로 선택 가능하며, 유형 편집에서 다양하게 편집 또한 가능합니다.
4. 구성요소
건축 탭에서 구성요소 배치(단축키 CM)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구성요소는 레빗을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설치된 구성요소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가구, 조경 등등 모델링을 꾸밀 수 있는 작업입니다.
'황 야의 Revit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기초) 07. 매스 모델링 (2) (0) | 2023.06.28 |
---|---|
Revit(기초) 06. 매스 모델링 (1) (0) | 2023.06.28 |
Revit(기초) 04. 벽 및 천장과 지붕 (0) | 2023.06.26 |
Revit(기초) 03. 바닥, 계단, 경사로 (0) | 2023.06.26 |
Revit(기초) 02. 기초 및 기둥과 보 (0)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