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매스작업 & 대지
매스작업 & 대지 탭에서 지형면 -> 점 배치를 선택하여 임의의 대지를 생성해 줍니다.
이처럼 점 배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배치한 점이나 대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VV를 눌러 지형에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등고선 만들기
현재 만들어진 대지는 0 레벨 즉, 등고선이 없이 0mm에 배치된 대지입니다.
등고선을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점 배치를 통해 추가로 점을 추가한 후 점을 선택하여 좌측 경계 점에서 해당 점에 대한 고도를 설정해 줍니다. 다음은 한 점을 3000의 고도로 잡아준 모습입니다.
또한 추가적인 점 배치 이후 고도설정을 해줄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추가적인 점 배치 이후 고도 설정을 한 모습입니다.
움푹 파인 듯한 대지 또한 설정 가능합니다.
다음은 추가적인 점 배치 2개로 움푹 패인 대지를 설정한 모습입니다.
3. 건물 패드
건물 패드는 건물이 놓일 자리를 평탄화하는 작업입니다.
다음은 건물 패드를 이용하여 건물이 들어갈 부분의 대지를 평탄화한 작업입니다.
좌측의 특성 탭을 이용하면
레벨, 레벨로부터의 높이를 통해 높낮이 또한 조절 가능합니다.
다음은 레벨을 2F로 설정하여 건물 패드를 설정한 모습입니다.
경사 화살표를 이용하면 건물 패드의 경사 또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좌측 특성 탭에서 테일의 높이와 헤드의 높이를 설정해 주면 경사진 건물 패드를 설계 가능합니다.
4. 표면 분할, 표면 병합
표면 분할은 작성된 대지를 분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표면 병합은 분할된 대지를 다시 병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좌측은 표면 분할, 우측은 표면 병합을 한 모습입니다.
표면 분할은 대지 경계 간의 재질이 다른 경우에 사용됩니다.
다음은 분할된 대지의 일부분을 아스팔트로 변경한 모습입니다.
5. 소구역
소구역은 표면 분할과 유사하지만 다른 개념입니다.
소구역은 표면 분할과 달리 완전히 분할하여 별도의 면을 설정하는 것이 아닌, 동일 면으로 취급하며 구역을 나누는 개념입니다.
다음은 표면 분할과 소구역의 차이입니다.
표면 분할은 설정 뒤 삭제 시키면 다른 면으로 설정이 되어 완전히 사라지는 것과는 달리 소구역은 설정 뒤 삭제하여도 원래 면으로 돌아오게 되는 차이가 있습니다.
6. 대지구성 요소
대지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이 각종 모형들을 배치시킬 수 있는 기능입니다.
7. 캐드 수치지형도 가져오기
캐드에서 만들어진 수치지형도를 다음과 같은 절차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실습에 사된 파일은 업로드해놨습니다.
다음과 같이 지형면 - 가져오기에서 작성 기능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지형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8. 등고선 레이블
등고선 레이블 기능을 활용하면 각 등고선에 해당하는 높이를 표시해 줍니다.
'황 야의 Revit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t(기초) 10. 일람표 작성하기 (0) | 2023.07.03 |
---|---|
Revit(기초) 09. 치수 및 지지선 (0) | 2023.06.29 |
Revit(기초) 07. 매스 모델링 (2) (0) | 2023.06.28 |
Revit(기초) 06. 매스 모델링 (1) (0) | 2023.06.28 |
Revit(기초) 05. 문, 창, 커튼 월, 구성요소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