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디트로이트 익스체인지 타워(Exchange Tower)의 시공 방법이 큰 이슈를 끌었습니다. 익스체인지 타워(Exchange Tower)는 16층으로 63미터의 건물입니다. 이슈가 된 시공 방법은 시공사인 바튼 맬로(Barton Malow) 사의 자회사인 리프트빌드(Liftbuild) 사의 이름을 딴 리프트 빌드(Lift-Build) 공법입니다. 오늘은 발상의 전환으로 생겨난 Lift-Build 공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리프트 빌드(Lift-Build) 공법이란?
리프트 빌드 공법은 전통적인 상향식 공법(아래서부터 위로 짓는 공법)의 반대인 위에서부터 시공하며 내려오는 하향식 공법입니다.
리프트 빌드 공법의 시공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직 이동 수단인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먼저 시공한다. (먼저 시공된 엘리베이터와 계단은 건물의 코어 부분으로, 기둥 및 레일의 역할을 합니다.)
- 지상에서 한 개의 층을 먼저 시공합니다.
- 시공된 한 개의 층을 지상에서 유압식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끌어올려 최상층부터 결합해 나갑니다.
2. 리프트 빌드(Lift-Build) 공법 채택 이유
익스체인지 빌딩에 전통적인 상향식 공법을 채택하지 않고 리프트 빌드 공법을 익스체인지 타워(Exchange Tower)에 채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현장 부지의 협소함
현장 부지가 굉장히 협소한 관계로 작업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시공을 위해선 충분한 작업 공간이 확보가 되어야 하는데 현장 부지가 장방형이 아닐뿐더러 협소해서 리프트 빌드 공법을 채택했습니다.
2.2 타워크레인 사용 불가
익스체인지 타워를 시공하는 현장 바로 옆에 디트로이트 시내 중심가를 관통하는 모노레일 '피플 무버'가 있기에 타워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3. 리프트 빌드(Lift-Build) 공법의 특징
3.1 장점
(1) 안전
위험한 고소 작업이 줄어들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자재 낙상 사고 위험이 없습니다.
(2) 비용절감
필요 인력이 줄어 경제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고소 작업 및 타워크레인 등 특수한 작업이 필요 없기에 그에 소비되는 비용들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공기단축
시공사인 바튼 맬로(Barton Malow)는 기존의 상향식 공법을 사용할 때보다 15~20% 정도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3.2 단점
리프트 빌드에 있어서 가장 큰 단점은 높은 정밀성을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리프트 빌드 공법은 기존의 한 층 한 층 지상부터 시공해 나가는 방식이 아닌 지상에서 층을 시공 후 최상층에서 결합한다는 점에서 높은 정밀성을 요구합니다.
접합을 정확하게 하지 않을 시 누수, 구조적 결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곧 건물의 품질 저하로 연결됩니다. 건축물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것이므로 항상 최상의 품질을 요구하는데 품질 저하는 곧 안전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4. 국내 적용 사례
국내도 리프트 빌드 공법의 장점으로 적용한 사례가 많습니다. 리프트 빌드와 같은 공법은 아니지만 모듈러 공법(Off-Site공법)을 도입하고 적용하고 있습니다.
모듈러 공법은 Off-Site 공법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탈 현장화를 이뤄내는 것입니다. 공장에서 현장 작업 시 필요한 구조물을 제작한 후 현장으로 가져와서 접합하는 과정입니다.
리프트 빌드 공법과는 다르지만 선 제작 후 시공이라는 점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듈러 공법은 재래식 과정을 시스템화하여 경제성과 함께 공기 단축을 이뤄낼 수 있습니다.
마치며
건축 시공에 상상으로만 이뤄지던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는 점이 정말 흥미롭습니다. 단순히 상상으로 생각하는 기상천외한 방식만이 아닌, 현장 인부들의 안전을 고려하거나 시공 현장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류가 굉장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황 야의 건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에 대응해 건축물에 적용된 신재생 에너지 기술들 (0) | 2023.08.23 |
---|---|
층간소음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 주택의 구조 형식을 바꾼다. (0) | 2023.08.16 |
내진 보강 공법의 새로움. 무앵커 비접착식 내진 보강 공법 (0) | 2023.08.08 |
현대 공학의 결정체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 (0) | 2023.08.07 |
도대체 무량판 구조가 뭐길래? (1) | 2023.08.06 |